관세 때문에…4명 중 1명 '큰 소비' 포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 이후,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택이나 자동차 같은 주요 구매를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중개업체 레드핀이 시장조사업체 입소스에 의뢰해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전국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의 24%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큰 소비를 취소했으며, 32%는 구매를 미루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올해 장기적인 소비 전망에 대해선 전체 응답자의 55%는 관세 정책으로 인해 올해 큰 소비를 꺼리게 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구매 가능성이 커졌다는 응답은 13%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초 발표한 관세 정책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일부 경제학자들이 물가 상승과 소비심리 위축, 경기침체 가능성 증가 등 부정적 파급효과를 경고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다. 한인 자동차 업계에서도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첫 자동차 관세 발표 직후 딜러십에서 가격을 선제적으로 인상했다가 이후 수요가 둔화되자 가격을 소폭 내리는 등 변동성에 따른 시장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에덴자동차의 제이 장 부사장은 “최근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고객들 또한 많이 망설이는 모습”이라며 “들쭉날쭉한 가격에 차량 판매와 구매 모두 관망세에 돌입한 상태”라고 전했다. 이번 관세 정책은 주택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모기지 금리 또한 소폭 변동을 보이고 있으며, 건축 자재비 상승으로 인해 신규 주택 건설 비용이 오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남가주한인부동산협회의 이든 백 이사장은 “이번 봄 시즌 시작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만 봤을 때 3월 단독주택 판매가 크게 부진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다만 오랫동안 이자율이 높게 유지되어 왔고 기타 시장 여건 또한 비슷하게 지속돼 왔기 때문에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인지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많은 소비자의 재정 능력은 관세에 직접 타격을 받았다. 설문조사의 예비 주택 구매자들은 최근 주식시장 하락으로 인해 자금 조달 계획에 차질을 빚었다고 밝혔다. 주택 구매를 위해 주식을 처분하려던 응답자 중 20%는 이번 관세 여파로 계획을 재조정하고 있다고 답했다. 소비자들은 최근 지속해서 경제 여건이 후퇴하면서 비상시 주택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저축금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의 응답자 중 34%는 실직 등 위기 상황에서 주거비를 감당할 수 있는 비상 자금이 없다고 답했다. 반면, 절반 정도는 일정 수준의 비상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렌터의 53%는 비상 자금이 없다고 밝혀, 주거 취약 계층이 재정적으로 더 불안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훈식 기자소비 관세 관세 정책 자동차 관세 국내 소비자